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스프링노트에 베타테스터 신청을 했더니 덜컥 당첨 메일이 왔다. ^_^;;
메일 내용은 베타테스터에 당첨되었다는 사실과 테스터 고유 Key가 들어간 URL.
타고 들어가보니 오픈아이디를 입력하는 ID 입력란이 나온다.
ID를 입력한 후 오픈아이디의 인증을 거치면 바로 아래와 같은
도메인, 닉네임, 이메일 주소를 확인한 후 동의를 받고 개설 신청을 하면
푸른색 바탕의 스프링노트 본 페이지가 짠!! 하고 나타난다.
일단 '심플하다'라는 느낌을 받았고, 상단의 에디터, 왼쪽에 유저가 생성한 노트 메뉴,
오른쪽엔 노트에 작성한 내용, 그 외 검색, 캡션 기능이 나온다.
생각보다 너무나 심플한 디자인에 기능을 갖고있다.
하지만 한가지 아쉬운건 노트 작성 시 텍스트 이외의 기능은 아직 보지를 못했다.
위의 이미지는 오픈마루 스튜디오 블로그에서 캡쳐해온 스프링노트 아이디어 노트 중
한 부분인데 위와같은 그림 그리기 기능이 있으줄 알았는데 막상 오픈해보니
아직 그런 기능은 없었다. 개인적으로 가장 기대했던 기능이었는데...
이런 기능이 있으면 재미도 있을테고, 공유로서의 기능이 조금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한다.
그래도 커뮤니티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은 모두 가지고 있다. (아직은 단순 게시판이지만...)
위와 같이 각종 게시판이 있고,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게시판은
'메쉬업 공유'와 '아이디어 제안' 게시판이다.
적극적인 유저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데서 눈에 띄었고,
흔히들 말하는 웹2.0의 본질적인 기능이지 않을까해서 눈에 띄었다.
위의 이미지는 '예쁘게 보기', '가볍게 보기' 기능 중 '가볍게 보기'의 디자인이 적용된 페이지이다.
가볍게 보기와 예쁘게 보기의 가시적인 차이는 외곽선 변경, 이미지 간소화 등이다.
웹 표준 적용으로 브라우져 간 호환을 염두한 기능인것 같기도 하고...
이 외의 재미있는 기능은
작성한 게시물의 Back Count 기능이다.
유저가 작성한 게시물의 등록시간을 표시해줄 때 XXXX일 XX시 XX분 XX초에 등록되었다가 아니고
XX분 XX초 전에 등록되었다. 라고 표기하고 있다.
이는 마지막으로 작성/변경된 시간에서 얼마나 지났는지를 표기하기 위함이라 본다.
독특한 발상이지 않을 수 없다. ㅎㅎ 아직까지 이런 기능은 본적이 없기에...
그리고 재미있는 것 하나 더!!
스프링노트 FAQ 부분에 '스프링 노트가 망하면 어떻게 하나요?'라는 질문에
여러분이 사용하시다가 스프링노트를 떠나고 싶으실 때에도, 모두 짐싸서 가실 수 있도록,
데이터 내려받기를 지원해드립니다. 나아가 이사툴도 제공해드릴지 모릅니다. ^^:
라고 답변을 달아 놓았다. 뭐..그럴일은 없겠지만 답변이 익살 스럽다.
아직 더 써봐야 본질적인 기능을 습득하겠지만
협업 노트 겸 아이디어 공유 등 좋은 서비스는 틀림없는 것 같다.
스프링노트의 의미는?
봄에 씨를 뿌리고 싹이 돋아 식물이 자라나듯, 스프링노트에서 아이디어의 싹이 움터 자라나는
점진적인 글쓰기 과정과 유사하기에 그렇게 지었습니다.
3월 봄에 런칭하는 서비스이기에 더욱 이름이 어울리는 것 같죠?
댓글을 달아 주세요